스크린샷 2022-03-14 오후 11.58.22.png

요약

1959년 생으로 서울대 금속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MIT에서 재료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도난 방지 센서 기업에서 6년간 근무하다 1997년 한양대 재료공학과 교수가 됐다. 이후 110여 편의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 논문을 쓴 전문성과 대중에게 어려운 과학 및 기술지식을 쉽고 재밌게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관직은 청와대 과학기술비서관을 거쳐 2010~2012년(이명박 정부) 교육과학기술부 제2차관을 지냈다. 한국연구재단 선임이사, 산업기술진흥원 이사, 과학창의재단 이사도 역임했다. 현재는 한양대 디지털헬스케어센터 운영위원장으로서 디지털 치료제 개발과 과학기술 대중화에 힘쓰고 있다. 윤석열 당선인과 김 교수 모두 부친이 연세대 교수로, 두 사람은 대학 시절부터 친분이 있는 사이다. 윤석열 정부의 1번 공약인 디지털플랫폼 정부를 만들고 이끌어갈 것으로 보인다.

학력

경력

핵심 발언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행정 서비스에 결합하는 디지털 플랫폼 정부”

"정부의 두뇌는 거대 인공지능이 될 겁니다. 임기 3년차 내 완성을 목표로." 윤석열 / 대통령 당선인 (지난 1월)

“플랫폼 시대를 맞아 이제는 R&D에서 C&P-S(Connect&Problem Solving, 연결해 문제 해결)로 전환해야 한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분야별로 데이터가 모이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다양하게 존재하는 국내외 기술을 연결해 문제를 해결하는 쪽으로 R&D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가 올해 27조 원 넘게 대학과 출연 연구원, 기업의 R&D를 지원하는데 이 가운데 사업화되는 게 얼마나 있는가. 기업가 정신의 쇠퇴는 중소기업의 경쟁력 약화와 연계돼 있다. 대기업의 문화도 여전히 관료적인데, 특히 최고경영자(CEO)는 임기 중 실적 내기에 급급하다. 스페이스X테슬라의 일론 머스크나 엔비디아의 젠슨 황처럼 기술의 흐름을 잘 아는 경우도 드물다”.

공약 개발을 주도한 김창경 한양대 교수가 인수위 과학기술교육 분과 책임자로 유력하게 거론.

IT분야 대기업은 물론 스타트업과도 협업해 플랫폼을 개발하고, 해외 수출까지 하겠다는 구상.

출처: 김창경 "원천·기초연구, 금과옥조 아니다…기술 연결 플랫폼 구축해 사업화해야"[청론직설]

뉴스